프라이버시 마크 취득 절차
컨텐츠 정보
- 745 조회
- 0 추천
- 0 비추천
- 목록
본문
P 마크 취득을 고려하고 계신다면, 귀사의 사업 규모와 체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시간과 비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.
① 준비 단계
-
내부 상황 파악
-
현재 개인정보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
-
개인정보 처리 흐름(어떤 정보가, 누가, 어디서, 어떻게 처리되는지)을 정리
-
-
책임자 지정 및 조직 구성
-
개인정보 보호 책임자를 정하고 담당 부서를 만듭니다.
-
-
교육 및 규정 마련
-
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규칙(내규)을 만듭니다.
-
직원 대상 개인정보 보호 교육을 시작합니다.
-
② 개인정보 보호 관리 체계 구축
-
개인정보 관리 기준 작성
-
개인정보의 수집, 이용, 제공, 폐기 등 처리 절차를 문서화
-
-
안전 관리 조치 도입
-
기술적 조치 (암호화, 접근 권한 제한 등)
-
물리적 조치 (출입 통제, 문서 보관 관리 등)
-
관리적 조치 (교육, 내부 감사 등)
-
-
개인정보 취급 현황 점검 및 개선
-
실제 운영 중인 시스템과 절차가 규정에 맞는지 점검하고 보완합니다.
-
③ 심사 신청 및 심사
-
신청서 제출
-
일본정보통신진흥협회(JIPDEC)에 신청서와 준비된 문서 제출
-
-
서류 심사 및 현장 심사
-
문서 심사 → 현장 방문 심사(개인정보 보호 조치 점검)
-
-
개선 요구 대응
-
심사 중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재검토 요청에 대응
-
④ 인증 결정 및 마크 부여
-
심사 통과 시 프라이버시 마크 인증서와 마크 사용 권한 부여
-
인증 기간은 보통 2년이며, 갱신 심사가 필요
2. 준비 사항
-
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지정
-
개인정보 보호 정책 및 관리 규정 수립
-
내부 교육 및 인식 제고
-
개인정보 처리 현황 파악과 문서화
-
안전 관리 조치 실행 (기술, 물리, 관리적 조치)
-
내부 감사 및 지속적 개선 체계 마련
-
심사 대응 준비(서류 준비 및 담당자 교육)
3. 참고
-
처음 준비 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 수 있으니,
-
컨설팅 업체를 통한 지원도 많이 이용합니다.
-
취득 후에도 꾸준한 관리와 주기적 점검이 필요합니다.